매년 말이 되면 꼭 챙겨보게 되는 책이 있어요. 바로 김난도 교수님이 이끄는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에서 출간하는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입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2025년을 예측하는 새로운 책이 나왔어요.
사실 ‘트렌드’라고 하면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트렌드 코리아 2025』는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게 될 변화들을 꽤 구체적이고 현실감 있게 보여줘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어요.
2025년 핵심 주제는 ‘PLASTIC BOX’
이번 책의 큰 주제는 ‘PLASTIC BOX’. 말 그대로 ‘플라스틱 박스’처럼 정형화된 사회 속에서 어떻게 나만의 방식으로 살아갈 것인가를 고민하게 만드는 키워드예요.
10가지 키워드 한눈에 보기
P: Professionalize Me – 나를 전문가처럼 만드는 소비
L: Level Up from Real – 현실 그 이상을 추구하는 사람들
A: Anti-Networking – 관계에 피로를 느끼고 거리를 두는 경향
S: Safe Place – 심리적으로 편안한 공간의 가치
T: Temp Lifer – 임시적 태도와 유연한 삶
I: Infant-Adult – 유아적 감성을 지닌 어른들의 취향
C: Co-Co-Co Economy – 협력, 공동체, 공존을 지향하는 경제
B: Burn Rate Society – 빠르게 소모되는 사회와 개인
O: Order Made – 개인 맞춤형 소비의 확산
X: X-periential Intelligence – 경험에서 비롯된 지능과 감각
이 책의 장점은 무엇일까?
1. 현실적인 흐름을 짚어준다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사회 변화와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트렌드를 설명하고 있어서 이해하기 쉽고 공감이 돼요.
2. 다양한 브랜드 사례가 흥미롭다
트렌드마다 실제 기업과 제품 사례가 풍부하게 소개돼 있어서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어요.
3. 나만의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이 된다
단순한 소비 트렌드가 아니라, 개인의 삶과 커리어에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가 많아서 자기계발서처럼 읽히기도 해요.
아쉬운 점도 있어요
1. 가볍게 읽기엔 분량이 부담스러울 수 있음
트렌드마다 설명이 길고 전문적인 용어도 섞여 있어서, 처음 읽는 분들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어요.
2. 모든 트렌드가 공감되진 않을 수도 있음
일부 트렌드는 아직 현실과 거리가 있는 느낌이 들거나, ‘이건 너무 과한 해석 아닌가?’ 싶을 수도 있어요.
개인적으로 가장 공감했던 부분
저는 Anti-Networking이라는 키워드에 정말 공감했어요.
디지털 시대에 사람들과 계속 연결되어 있지만, 오히려 피로감과 소진을 느끼는 요즘. 관계에 거리두기를 하고 나를 지키는 선택을 한다는 이 트렌드는 제 삶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이야기였어요.
또 Order Made 키워드도 인상 깊었어요.
이제는 브랜드가 나에게 맞추는 시대가 되었고, 소비자도 더 이상 ‘대중적인 제품’보다는 ‘나만을 위한 경험’을 원한다는 점이 참 공감됐어요.
이런 분들께 추천해요
- 마케팅, 콘텐츠 기획, 브랜딩 등 트렌드에 민감한 분야에 있는 분
- 커리어 전환이나 창업을 고민하고 있는 분
- 시대의 흐름 속에서 나만의 방향을 찾고 싶은 분
- 일상 속 변화를 민감하게 관찰하고 적용하고 싶은 분
『트렌드 코리아 2025』는 단순한 트렌드 예측서가 아니에요.
우리 삶과 생각의 방향을 돌아보게 해주는 책이자, 앞으로를 준비할 수 있게 도와주는 나침반 같은 책이에요.
2025년이 궁금하거나, 새로운 시도를 계획하고 있다면 꼭 한 번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
'독서_re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리뷰] 밥 프록터 <부의 확신> (잠재의식과 진동의 법칙으로 부를 끌어당기기) (3) | 2025.04.14 |
---|---|
[책리뷰] 『부와 성공을 부르는 12가지 원칙』|게리 바이너척이 전하는 진짜 성공의 비밀 (1) | 2025.04.10 |
[책리뷰]성공을 꿈꾸는 당신에게, 『슈퍼휴먼』을 추천하는 이유 (1) | 2025.04.09 |
[책리뷰]한강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 소개(+제주 4.3 사건) (0) | 2025.04.04 |
[책리뷰] 부자들의 서재 (부자들은 어떤 책을 읽을까?) (4) | 2025.03.31 |